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형 드론의 기술동향과 전망

전문가 제언

드론(무인항공기)은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무선전파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체를 말하며 소형(1kg이하) 드론부터 150kg 이상의 대형드론까지 종류가 다양하며, 미국은 최근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하던 드론을 일부 민간에서 사용하도록 허가하면서 향후 상업용 드론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드론은 군사적 목적 외에 농산물 작황조사 및 기상관측, 밀입국 감시, 국토·해양감시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앞으로 유통업체들의 물품배송 등 상업적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경제전문지 포브스(Forbes)에 의하면 드론시장은 2015년 70억 달러에서 2025년에는 82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해설은 소형 드론의 동향, 응용 및 전망에 관해 기술하였다.

 

드론의 형태는 고정익, 회전익 항공기 설계와 잠자리 날개 질 같은 생체모방 설계가 있다. 이들은 각각 장단점을 갖고 있다. 이 두 가지 모다 부품성능과 추진력 문제 때문에 어느 한계이하 소형화가 어렵다. 생체모방 잠자리 날개 짓 드론은 소형화가 가능하나 유체역학 모델링과 제어에 도전해야 한다.

 

상업용으로는 소형 드론이 많이 사용되며, 재해현장의 대처를 위해 드론 팀 가동이 가능하다. 앞으로 물품배송용 드론의 상업화 등을 위하여 개인의 사생활 침해 방지, 테러위험 방지 등 안전한 운영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드론(무인항공기)과 관련된 법적 규제를 해결해야할 것이다.

 

국내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출연연, 대한항공, 중소기업인 유콘 시스템 등이 드론 개발을 하고 있으며, 정찰용 송골매 개발·운용, 무인틸트로터(수직이착륙헬기) 개발 등 한국의 드론기술 수준은 미국, 이스라엘, 프랑스 다음으로 세계7위이며, 소형 상용 드론은 중소기업에서도 개발이 가능하여 국내 IT기술과 협업하여 창조경제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저자
Dario Floreano, Robert J. Woo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521()
잡지명
Natur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460~466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