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장 미생물군총 내 섭취된 세균의 운명, 작용 및 영향
- 전문가 제언
-
○ 근래 20년 사이에 식사나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한 섭취에 의한 세균이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이전에는 장내의 다른 병원성 미생물의 감소 등과 같은 장과 직결되는 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근래에서 보다 먼 장기에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섭취 미생물의 영향은 미생물 산업 시장에서 유산균 혹은 낙산균 같은 수종의 세균에 관한 복용과 영향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오고 있다. 그러나 본 리뷰에서와 같이 근래의 주 관심사는 섭취 미생물이 장의 미생물 군총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본 레뷰도 이에 관한 근래의 연구 사례들을 광범위하게 소개하고 있다.
○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국내외에서 현재 시장에서 사용 중인 다수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들은 일시적 증식 균으로 장의 미생물군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제품 개발은 미생물 군총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각종 방안 혹은 제품들의 생산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나아가 섭취 미생물의 보다 먼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일부 보고되는 각종 효과에 대한 진위 여부의 규명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례로 2013년 UCLA 팀이 보고한 연구에서 식사를 통한 장 미생물의 변화는 뇌 기능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들은 앞으로 식사 혹은 약품을 통하여 뇌 기능을 향상시키는 개재들(interventions)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한 바 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섭취 미생물의 산업 규모는 수조원에 이르며 제2형 당뇨 등 대사 질환과 염증성 장 질환 등에 영향을 끼치는 관련성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필요하다. 따라서 산업계, 보건계의 집중적인 연구 수행과 관련 기관의 연구 지원을 통한 기술의 선진화가 요구된다.
- 저자
- Muriel Derrien, Johan E.T. van Hylckama Vlie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23(6)
- 잡지명
- Trends in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54~366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