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수준의 전과정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바이오가스 LCA 리뷰와 이해당사자 인터뷰
- 전문가 제언
-
○ 가축배설물을 원료로 하는 바이오가스 플랜트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열병합발전(CHP: Combined Heat and Power: Co-generator)에서 연소시켜 전력과 열에너지로 이용하는 방법과 바이오가스를 정제해서 이용하는 방법, 가스보일러에서 연소시켜 열로 이용하는 방법 및 발효 후에 소화액을 지역 사정에 의해서 농지에 환원이용하거나, 정화처리 후에 방류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CHP로 에너지로 전환된 전력을 전력회사에 판매해서 재생에너지로 얻어진 발전전력의 구입을 의무화해야 된다.
○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효율적인 바이오가스 이용방법 및 환경부하를 검토해야 하며, 기온의 계절적인 변동에 수반되는 에너지수지검토, 최종 소비단계까지 생산된 에너지의 에너지수지 및 환경부하 등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바이오가스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 바이오가스 이용방식은 가스보일러, CHP 및 정제장치 등이 있는바, 이들은 각각 바이오가스 이용공정이 다르므로 이용되는 3가지 방식에서 에너지이용효율의 비교가 반드시 필요하다. 생산된 에너지형태는 열, 전기, 정제가스 등으로 상이하므로, 바이오가스 발생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최종적으로 이용할 때까지 에너지수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우리나라 농업시설분야에 장기적, 종합적인 환경영향 평가기법으로 LCA도구가 사용되어 제품사용 단계별과 제품제조 단계별 LCA 및 가축배설물, 음식쓰레기 등에 관한 생물계폐기물 바이오가스 생산과 이용시스템 LCA를 도입해서 전과정 영향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 LCA도구를 농업폐기물과 식품폐기물 자원순환시스템에 적용해서 바이오가스 플랜트 및 시스템처리과정에 수반되는 환경부하 배출량 및 관련시설건설, 바이오매스 공급체인 등에서 환경부하 배출량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라 보다 환경부하가 작은 바이오가스 생산이용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대체방안을 반드시 마련해야 된다.
- 저자
- Suvi Huttunen, Kaisa Manninen, Pekka Leskine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80()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16
- 분석자
- 홍*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