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용접의 기초와 그 기술동향
- 전문가 제언
-
○ 레이저를 이용하는 가공기술은 구멍가공, 절단 등의 제거가공, 용접, 브레이징, 솔더링 등의 접합가공, 표면 퀜칭, 클래딩 등의 표면개질 기술 등 매우 다양하다. 특히 최근 3D 프리팅 기술로 알려진 레이저적층 조형(LAM 혹은 AM : Laser Additive Manufacturing)의 연구개발이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금후 이 분야의 기술 발전이 제조업의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레이저용접은 아크용접과 비교하여 천배이상으로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어 비드폭과 열영향부 폭을 좁게 하며 깊은 용입과 저변형의 용접부를 얻을 수 있는 용접법이다. 특히 철강재료와 Al, Mg 합금 또는 CFRP 등 이종재료 간의 레이저용접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자동차, 조선 분야의 멀티 머테리얼(multi-materials)화에 그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 레이저 발진기로써 지금까지 파장 10.6μm의 고출력의 CO2레이저나, 파장이 1.06μm의 짧은 파장의 YAG 레이저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반도체레이저, 파이버레이저와 디스크레이저 등의 고체레이저에서 높은 출력, 고효율, 고빔품질이 얻어지게 되어 그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100kW의 높은 출력의 파이버레이저가 등장하여 용접부의 용입특성이 연구되고 있다.
○ 본문에서는 레이저용접에서 스패터, 험핑비드와 같은 용접결함의 발생 기구, 자동차 산업에서 요구되는 경량재료, 이종재료의 레이저 용접의 기술 동향, 레이저용접의 새로운 전개로써 스캐너용접, 레이저-아크하이브리드 용접의 동향, 필러 와이어(filler wire)레이저 용접 개요 등을 담고 있어 URL에 접속하면 더 많은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국내의 제조업에서 용접 인력의 고령화 현상이 심각하다. 따라서 국내의 조선, 해양 기자재산업을 위시한 각종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레이저 용접과 같은 고도화 용접의 과감한 현장 채용 노력이 필요하다.
- 저자
- KATAYAMA Seij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63(5)
- 잡지명
- 溶接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2~47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