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강제품 용접부의 후열처리기술
- 전문가 제언
-
○ 해양에서 활용하는 해양구조물과 해양을 항해하는 선박은 높은 안정성을 요구하며, 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이 필수적이다. 세계 각국의 조선?해양산업계에서는 선박과 해양구조물의 제조과정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용접이음부의 품질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강판, 주강품, 주물품 등의 철강재료에 대한 레이저?아크 복합용접공정, 용접후열처리/잔류응력완화의 용접시공, 용접재료 등을 포함한 첨단용접기술을 개발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압연 강판과 주강품의 용접이음부에 대한 후열처리는 ① 용접열영향부를 포함한 용접부의 강도와 충격인성을 높이고, ② 선체구조용 고장력 후판재의 다층용접에서 저온균열 또는 기공과 같은 용접결함을 유발시키는 수소와 습기를 방출시키며, ③ 잔류응력을 제거하고 응력부식균열을 방지하는데 있다.
○ 선박용 엔진부품, 해양구조물 설비부품, 초저온 벨브 등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주강 소재는 두꺼운 형상으로 제조되는 특성에 따라 용접/주조과정에서 표면부와 중심부의 냉각속도에 차이가 생기고 템퍼링 취성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심해용 천연가스 해저생산시스템과 새로운 에너지 자원의 개발에 필수적인 해양구조물의 용접이음부에 요구되는 한랭지화, 대수심화, 대형화, 경량화, 고강도화, 고인성화 등의 요구 사항에 맞추어 용접후열처리, 잔류응력제거와 같은 용접시공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 조선과 더불어 해양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미와 일본의 기술력을 능가할 수 있는 용접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조선소 현장에서 실용화되고 있는 용접후열처리 작업과 같은 용접시공 분야의 기술력이 뛰어나야 한다. 본고에서 제공하는 주강품의 용접후열처리에 관한 기술 정보는 향후 해양구조물 제작을 위한 용접기술의 연구개발에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Elaine Thoma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94(2)
- 잡지명
- Welding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8~42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