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학습을 사용하는 사회망에서 얼굴인식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빅 데이터 분석체계
- 전문가 제언
-
○ FR은 지난 20년 넘게 여러 새로운 돌파구 탈출의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여왔고 상업적 소프트웨어로부터 중요한 법 집행 애플리케이션까지를 아우르는 여러 교차 도메인 애플리케이션을 꾸준하게 내놓고 있다. 최근에 BDA(Big Data Analysis: 빅 데이터 분석), CC(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 SN(Social Network: 사회 망), 그리고 ML(Machine Learning: 기계학습) 분야의 획기적인 발전은 컴퓨터 비전에서의 여러 놀라운 문제와 씨름하는 방법의 전통적인 견해를 광범위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 본 논문은 FR의 현대적 관점에 CC, BDA, SN, 그리고 ML에 대한 개념의 철저한 점검을 제공하고 BD와 SN을 운영하여 FR 과제를 해결하는 ELM(Extreme Learning Machine: 극단적 학습기계) 기술에 기반 한 새로운 FR 구현 체계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접근법으로 앞에서 언급한 개념의 바람직한 속성은 FR의 실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연합을 형성케 할 뿐만 아니라 FR의 다른 과제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 본 논문의 저자는 인도 사람으로 인도의 ICT 분야 최첨단 연구의 높은 수준을 가름 할 수 있다. 인도는 영어가 공용어이고 유럽학풍에 따라 수학교육의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아 알고리즘 구성에 매우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인구는 12억 명이다. 향후 인도는 여러 면에서 우리의 필적하는 상대가 될 것이다. 세심한 관심을 반드시 가져야할 것이다.
○ FR 구현은 ICT뿐만 아니라 미술, 법률 등 컴퓨터 논리를 중심으로 여러 분야에 걸친 응용 융합 연구로 이루어진다. 국내 학자로 FR 분야의 연구자는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 소수로 눈에 띄지만 융합 연구에는 매우 미미하다 하겠다. 국내 형편의 총체적 문제는 넓은 분야에 연구자의 수가 적다는 것이다. 향후 본 논문의 과제에 대한 후속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적지 않은 우리 연구자가 나타나기를 고대해 본다.
- 저자
- Vinay A, Vinay S Shekhar, Rituparna J, Tushar Aggrawal, K N Balasubramanya Murthy, S Nataraj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50()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23~630
- 분석자
- 김*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