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의 기술현황

전문가 제언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IT 환경구축으로 인터넷상의 서버를 사용하여 데이터저장,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이 일반화 되고 있다. 이런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업과 공공기관 뿐 아니고 개인도 이용도가 증가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IT 환경을 대체하고 있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로 인한 데이터 유실이나 유출 그리고 서비스의 가용성의 침해 등 클라우드 보안이 이슈가 되고 있다.

 

클라우드 보안 이슈는 개인사용자 영역과 기업 사용자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개인사용자 관점에서 우려되는 보안문제는 (1)개인정보노출(프라이버시 침해) (2)개인에 대한 감시(사생활 감시) (3)개인 데이터에 대한 상업적 목적의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기업입장에서 우려되는 보안 이슈는 (1)서비스 중단 및 서비스 장애 (2)기업정보 훼손 및 유출 (3)고객정보 유출 (4)/규제 준수 (5)전자 발견(e-discovery) 대응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라우드에 대한 요구사항이 개인과 기업사용자에 따라 다른데, 개인사용자는 익명성 보장에 중점을 두는 반면에, 기업 사용자는 컴플라이언스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클라우드 서비스 보안관리 가이드라인이라는 보고서를 201010월에 발표하였는데,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제공자 측면의 운영 및 기술 가이드라인과 이용자 측면의 클라우드 도입 가이드라인을 기술하고 있다. 기술적 가이드라인은 네트워크 및 시스템보안, 데이터 및 스토리지 보안, 애플리케이션보안 및 이용자 식별 및 접근관리 등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이 안정적인 IT 환경의 기반역할을 위해서는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기반 보안기술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저자
Farrukh Shahza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37()
잡지명
Procedia Comput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57~362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