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활성탄과 수산화철을 혼합 이용한 소구경탄 사격장 유출수의 중금속 제거

전문가 제언

사격장의 탄약 잔재물에서 발생하는 금속이나 비금속은 주변 토양에 침적되거나 배수시설에 퇴적되어 생태계와 인체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 논문은 노르웨이 육군 사격장 지역의 연못 배수로에서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칼럼 형 여과장치의 최적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물 또는 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제거방법은 다양하나 흡수제를 이용하는 칼럼 형 여과시스템은 흡수제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사용된 여과시스템에는 활성탄과 수산화철의 두 가지 흡수제를 혼합 이용하여 납, 구리 및 주석을 제거한 결과 칼럼 상단에 먼저 활성탄을 넣고 하단에 수산화철을 충전하는 방식이 효과적이었다.

 

우리나라는 과거 사격장 인근 주민들의 피해 사례가 잇따라 알려지면서 이들의 환경 및 건강권 침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사격장 지역의 토양 및 지하수는 대부분 중금속으로 오염되고 소음공해에 시달린다는 민원이 다수 제기된 바 있었다. 2000년 초, 사격장 토양오염 조사 및 오염확산 방지대책이 연구되었고 군 사격장 오염처리기술 연구단이 발족했으며 최초로 2005년 환경관리공단이 사격장의 납 오염 정화설계를 실시한바 있다.

 

향후에도 군 사격장 주변에 대한 주민 갈등요인을 해소하고 주민 건강 및 국토보존을 위해 국방부, 환경부 및 지자체가 협력하여 주기적으로 사격장의 환경오염을 제거해야 한다. 환경부는 토양환경 보존법에 따라 2010. 8월 토양 정밀조사 지침을 개정한 바 있다.

 

따라서, 사격장 뿐 만 아니라 군부대, 주한미군 반환기지 및 주변지역이나 광산개발 지역, 유류 저장시설, 대형 건설현장, 석유류 및 유기용제의 제조, 저장, 운반과정에서 부적절한 관리로 인해 발생되는 토양오염을 수시로 조사하고 적정기술을 제공하여 오염된 토양을 정화해야 한다. 칼럼 형 여과시스템은 중금속 제거의 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저자
Espen Mariussen, Ida Vaa Johnsen, Arnljot Einride Strømse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50()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1~287
분석자
이*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