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피부세정 조성물

전문가 제언

근년 인체 세정용 제품으로는 사용하기에 편리한 액상용품인 손비누, 바디 클렌저(body cleanser) 등과 같이 피부보습용, 두피 및 모발보호용, 아토피 피부보호용 등의 특정 용도를 갖는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체 세정제로서 바디워시(body wash) 제품은 일반적으로 피부뿐 아니라 모발도 세정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갖춤으로써 그 편리성에 의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능성을 갖는 신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발명은 세정 조성물의 점도조정과 함께 추운 날씨에도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바디워시와 같은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조성물의 구성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적절한 배합비율 및 알콕시화(alkoxylated) 메틸글루코오스 에테르를 함유한 증점제가 첨가된다. 특허청구권 범위를 보면, 사용되는 원료는 이미 공지되어 시판되고 있는 물질들이며, 배합비율에 특이사항이 있는 것으로 참고 시에 이 점을 고려하면 특허권 침해는 회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사회적인 최고 관심사는 친환경 웰빙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의 조건이 종래보다 자원절약에 의한 경제적이면서 인체의 안전성을 고려한 인체 친화적이고 친환경적인 계면활성제의 개발이 중요하다. 국내의 경우, 미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알킬글루코오스의 합성법으로서 화학적 합성법보다 훨씬 간편한 효소를 이용한 생물합성법에 관한 연구가 대학 및 연구소 등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한편, LG생활건강에서는 알킬폴리글리코시드를 원료로 한 친환경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상품명; ELOTANT Milcosides) 시리즈를 시판하고 있다.

 

향후 세정제의 기술개발 방향은 특수용도용 세정제의 개발과 함께 환경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생분해성 세정제, 인체의 안정성을 고려한 저자극성 및 무독성 세정제, 천연자원을 이용하는 천연 세정제 등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련 업계들이 IT, BT, NT 등의 첨단기술을 응용한 고기능성 및 환경친화형 제품으로의 전환채비를 갖추어야 한다.

저자
Colgate-Palmolive Company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WO2015004726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