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가스 생산을 위한 돈분의 연속적인 건식 발효
- 전문가 제언
-
○ DPAR(Down Plug-flow Anaerobic Reactor: 하향 플러그-유동 혐기성발효조)는 별도의 교반 없이 돈분의 연속 건식 발효연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 유동성 실험에 의하면 가축 TS농도가 35%미만일 때 소화액의 TS농도 15.8%미만 이었고, 유속이 0.98 m/s를 초과함으로써, 소화액이 DPAR에서 쉽게 배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DPAR은 TS농도가 35%미만인 생-돈분을 사용할 경우 연속 건식 발효 실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바이오가스 생산율 및 이오가스수율을 최대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TS농도가 30%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상업형 돈육 생산국가로 분뇨를 대부분 액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돈분뇨에서 발생하는 메탄발생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 외의 다른 축산물 생산국가도 대규모의 관리시스템으로 전환하기 때문에 메탄발생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 선진국 및 개도국이 가축분뇨로부터 바이오가스 포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규모 혐기성 발효조는 피복형 라군 발효조, 플러그-유동발효조, 연속식 교반 발효조, 고정피막 발효조, 부유 막 발효조, 혐기성 연속식 발효조 및 건식 혐기성 발효조 등이 보급되어 있다.
○ 우리나라도 육류소비가 증가해서 가축사육의 대규모 전업화로 발생되는 가축분뇨 발생량이 연간 4,300만 톤 정도로, 이 가운데 86%가 퇴비와 액비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나머지는 정화방류 또는 해양에 투기 되었으나, 2011년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가축분뇨의 처리에 있어서 바이오가스플랜트 시설은 필수시설이 되고 있다.
- 저자
- Chuang Chen, Dan Zheng, Gang?Jin Liu, Liang?Wei Deng, Yan Long, Zhan?Hui F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38()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36~442
- 분석자
- 진*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