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 작업자의 산불연기노출에 대한 건강영향의 체계적 고찰

전문가 제언

최근 기상이변으로 산불은 자주 발생되고 강도도 강해지고 장기화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산불로 35천만ha 토지의 삼림이 황폐화되고 매연(BS: black soot)의 약 34%를 대기로 배출시킨다. 동남아와 러시아 같은 특정지역의 산불은 지역 매연의 약 63%를 차지한다.  

- 산불연기의 PM 성분 중 검댕(BC: black carbon)과 매연은 자동차와 산업 보일러 등 화석연료 연소배기 PM의 것보다 많아 기후변화에 더 많은 영향을 주지만 건강영향에 대한 차이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산불은 PM, CO, VOCsNOx 등을 직접배출하며, NOx는 대기에 장기체류 이동하면서 광화학반응으로 O3PAN(peroxy acetyl nitrate)을 생성하여 호흡기질환과 암을 유발한다. O3은 천식을 유발하며 농작물과 식생의 성장을 저해하고 기후온난화에도 영향을 준다. 러시아의 산불영향으로 우리나라 대류권 O3농도가 515%(310ppb) 증가 됨을 GEOS -Chem모델과 위성탐사자료 연구로 산정하였다.

 

산불로 발생하는 PM은 구름의 응결핵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태양복사를 흡수와 산란하여 기후변화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준다. PM1038.6/증가하면 총 사망위험이 0.3%, 호흡기질환 입원이 1.1% 증가하고 심혈관질환을 유발한다. O321ppb 증가하면 천식으로 입원이 3.6 % 증가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본문은 지난 30년간 산불연기에 노출된 일반인들의 건강영향논문(62)을 상세하게 분석평가 한 것으로 PM2.5, PM10, NOx, O3 등에 노출되면 대부분 호흡기질환과 천식의 발병과 사망에 관련되며,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심혈관질환, 태아저체중, 골수염과의 관련과 일반발생원 오염물질과의 건강영향의 차이를 앞으로 규명해야 하며 대기화학모델과 위성을 이용한 다중 에피소드와 광역규모 연구가 필요하다.

 

산림청은 증가, 대형화하는 산불을 예방하기 위하여 2011년부터 산불발생위치 정보시스템과 산불위험 예방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산불의 89%가 사람들의 부주의로 건조기인 4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저자
Jia C. Liu, Gavin Pereira, Sarah A.Uhi, Mercedes A. Bravo, Michelle L. Bel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36()
잡지명
Environment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20~132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