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집중식 관리를 통한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인터넷의 고도화와 스마트 미디어기기의 확산 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모바일 SNS 플랫폼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대중화되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TPS(Triple Play Service : 단일회선에서 전화/초고속인터넷/비디오 동시 지원) 등의 결합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인 소셜 미디어 포털 사이트의 GUI 구조가 갖고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적용한다면 SNS 콘텐츠를 실시간성 플랫폼을 통해 빠르게 전파할 수 있는 국내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및 플랫폼 설계에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소셜 미디어 서비스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과 접목되어 특정 장소에서 사용자가 휴대폰으로 체크인하면 지인들이 그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가 상용화되는 등 한 차원 높은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아울러 실시간 소셜 웹(real-time social web)을 통해 친구 관계(social graph)가 접목되어 의사소통이 거의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SNS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고서도 현재 접속한 웹 사이트의 좋은 정보를 지인들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 2013년 글로벌 소셜 미디어의 매출액은 페이스북 78억7,200만 달러, 구글 598억2,500만 달러, 아마존 744억5,200만 달러, Twitter 6억6,50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대규모 시장형성 원인은 모바일 메신저가 게임 및 소셜 커머스 중개로 수익모델을 갖추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국내 SNS를 비롯한 IT 서비스 업체들의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보다 유연한 플랫폼 개발 등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2012년 SNS 게임 출시 이후 무료로 자투리 시간을 활용할 수 있어 모바일 메신저는 게임 플랫폼으로 자리 잡으면서 이용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게임 도중 유료 아이템 구매는 모바일 메신저의 주요 수익원이 되고 있다. 2013년 (주)카카오의 게임 및 커머스 중개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5배 증가한 1,777억 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8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바일 게임 시장의 커다란 변화로 인식되면서 관련 기업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저자
- SMART GORILLA PTY LIMITE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0679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11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