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공성 중합체 코팅
- 전문가 제언
-
○ 접착성과 기류 저항성을 지닌 본 특허의 다공성 중합체 코팅은 ASTM D737-04에 따라서 시험한 결과 우수한 공극률(약 15% 이상)과 통기성을 가지고 있었고, 폴리메릭 폼으로 구성되었다. 그 다공성 중합체 코팅은 열 활성화 접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제품의 제조에 적합하다.
○ 다공성 중합체 코팅과 음향 효과 재료에 관한 국내의 연구 개발은 미미한 반면에 해외 특허로 “다공성 중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소유성 막 구조(2012)”, “다공성 지지체 상에 중합체 코팅을 형성시키기 위한 진공 챔버 방법(2010)”, “다공성 중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소유성 막 구조(2008)”, “중합체 코팅된 나노섬유의 부직웹(2007)”, “자동차 라이너를 위한 음향 효과적 부직포 재료(2005)” 등이 발표되었다.
○ 다공성 재료는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넓은 표면적과 기공 속성에 의한 새로운 응용을 위하여 그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다공성 재료의 기공 조절과 표면 특성의 변화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거나 기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정한 표면 코팅과 균일한 특성을 가진 재료의 제조는 쉽지 않다. PCPs는 나노 크기로 내부 공간이 있는 새장 구조의 재료들이다. 이들 재료들의 구조는 분자들을 모을 수 있는 빈 공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혼합물로부터 가스 혹은 작은 분자들을 분리하는데 완벽한 특성을 제공한다.
○ 작년에 교토대학의 세포-재료과학 연구소(Institute for Cell-Material Sciences)에서 다공성 배위 고분자(porous coordination polymers, PCPs)의 외부 표면에 층을 만들어서 불규칙적인 방수 표면을 형성하는 새로운 기술을 발표하였다. 그 기술로 제조된 새로운 재료들은 안정적이고, 우수한 소수성을 보유하여 유기 용매를 혼합물에서 분리할 수 있는 특성을 보유하였다. 일반적인 PCPs는 물로 쉽게 분해되어 불안정하지만 새로운 PCPs는 물이 있는 경우에도 분리되지 않는다.
○ 수입 의존 다공성 중합체 코팅을 국내산으로 대체하기 위하여 상기의 연구와 같이 신소재와 신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코팅의 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Precision Fabrics Group,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6643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3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