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소생성균 접종에 의한 바이오가스 생성증대

전문가 제언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바이오가스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다양한 유기폐기물에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유기물에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반응에 관련되는 인자로 pH, 온도 및 알칼리도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반응을 억제시키는 운영인자로서 휘발성 지방산, 암모니아 및 수소가스의 축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수소가스가 바이오가스 생성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기 때문에 바이오가스 생성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수소가스를 영양원으로 하는 미생물이나 수소가스를 계 외로 방출시키는 미생물을 접종시킬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수소가스를 계 외로 방출시키는 미생물로서 E. cloacae를 도입해서, 대조용 반응기에서 발생하는 595L/·유기고형물보다 20% 이상 더 높은 718L/·유기고형물의 바이오가스를 생성시킬 수 있었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에서 E. cloacae 세포수가 투입초기에는 1×109CFU/mL이었지만, 이후에 감소해서 6×107CFU/mL를 유지했으므로, E. cloacae가 지속적으로 반응에 참여하는 것을 확인했다. 

E. cloacae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제한효소를 사용하는 절단과정을 거친 후에 유전자지문분석법(T-RFLP)을 적용했다. 유전자지문에는 14개의 말단 제한절편이 표시되었고, 이들은 여러 운영분류단위로 결합되었다.

 

국내에서도 하천, 매립장침출수를 비롯해 혐기성 수소생성반응기(이윤지 등, 2006) 내에서 미생물군집 분포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T-RFCP기법을 도입했던 사례가 있다. 바이오가스 생성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이 기법을 도입한다면, 이론적인 기반을 확립할 수 있다고 본다.

 

저자
Norbert Ac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86()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6~293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