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가 선호하는 위치탐색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동통신 시스템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이 기술의 핵심과 같은 LBS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특정 위치정보를 얻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편리한 위치검색 서비스와 아울러 보호관찰이 필요한 특정인(노약자, 치매 환자 등)의 모니터링에 커다란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 특허기술의 핵심인 지리적 엔티티를 고려한 적합성 점수를 기반으로 사용자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력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국내 LBS 산업 전반에 밴치마킹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기술의 핵심은 기존의 사용자 컴퓨터 IP 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불확실한 위치탐색 오차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현재 지리적 엔티티를 고려한 최고의 적합성 점수를 기반으로 사용자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최적의 지리적(공간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 이 기술은 웹 쿼리(그림 1의 106)를 통한 작업결과를 실행쿼리(그림 1의 104)와 함께 사용자 선호위치 탐색모듈(그림1의 102)에 전달하고, 사용자는 하이퍼링크를 이용하여 쿼리 결과를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 앱을 통해 쿼리 및 결과를 선택할 수도 있는 다양성을 갖추고 있어 상업적 가치가 있다.
○ LBS 기술은 컴퓨터그래픽, 증강현실 및 위상기하학 등 다양한 기술과 융합되면서 u-City, 텔레매틱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도시계획/개발, 재난방재, 교통 제어 및 환경 등 다양한 산업의 기반이 되고 있다. 국내 LBS 산업은 공공부문이 58.7%, 민간부문이 41.3%를 차지하고 있다. 관련 기업의 매출규모는 10억 원 미만, 종업원 10명 미만의 영세기업이 대부분이며 이중 측량업체가 67.6%, GIS업체가 17.4%, 기타 RS/ITS/LBS 관련 기업이 15% 정도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LBS 산업은 2008년경부터 지속되어 온 국가GIS사업 추진과 세계 최고 수준의 ICT인프라 및 스마트 미디어기기의 높은 보급률 등으로 미래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이다.
- 저자
- GOOGLE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20951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7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