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화형 디스플레이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워치

전문가 제언

스마트 미디어기기 시장이 점차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이들의 하드웨어적 기능에 새로운 플랫폼을 추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모바일 시장에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스마트 미디어기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플랫폼으로 이용되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이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되면서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는 등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아울러 NFC 부스터 기술(기기에 별도의 칩을 장착하여 통신거리를 78이상으로 늘리고, NFC 안테나 크기를 대폭 줄이는 기술)을 개발하여 웨어러블 기기에 NFC 솔루션을 탑재하기 위한 기술적인 업그레이드가 시도되고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인 스마트 워치의 동작버튼(그림1200)OS를 통해 스마트 워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포트(그림1210)는 전력공급과 다양한 폼 팩터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동작버튼을 통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통신포트에 연결하여 네트워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점이 기술적 가치가 있다. 이는 스마트 워치를 포함한 국내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의 상호작용 플랫폼 설계 및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설계기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워치 관련 특허출원은 2007년부터 본격적인 증가추세를 보인다. 글로벌 6대 메이저 출원인(LG전자, 삼성전자, SONY Mobile Communications, APPLE, GOOGLE, NOKIA) 중 국내 LG전자와 삼성전자의 경우 특허 건수 면에서는 12위로 높으나, 핵심특허 비중은 45위를 기록하고 있다. 핵심특허 비중은 원천기술 보유율을 나타내는 척도가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에 향후 스마트워치 기술 분야의 글로벌 기술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수요자의 니즈를 틈새기술로 반영한 제품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워치 글로벌 시장규모는 20131억 달러, 2015111억 달러에서 2018년에는 622억 달러의 대규모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 중 2018APPLE의 매출액 32.8억 달러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APPLE의 시장점유율은 201410월 아이워치 출시를 기점으로 향후 5년간 글로벌 스마트워치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저자
I.AM.PLUS, LL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WO20150023955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5
분석자
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