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3D-CAD/CAM의 현재와 미래

전문가 제언

CAD가 설계와 제도 분야에 컴퓨터를 도입하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라면, CAM은 생산과 제조 분야에서 컴퓨터를 도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CAD에 의해 제품도, 부품가공도, 조립도 등의 최종 설계안이 확정되면 제품 제조단계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의 관련된 기술이 CAM이다. CAM은 공정설계(process planning), 생산관리와 자재소요량계획(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작업기술결정, 가공, 검색, 조립 등의 제조 전 과정을 컴퓨터에 의해 지원하는 기술이다.

 

?Industry 4.0?은 제조업이 발달한 독일에서 제4차 산업혁명이라고 주장하며 추진하고 있는 새로운 사상이다. 기본적으로 Industry 4.0은 전통 제조업에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과 같은 ICT를 결합, 적용하여 모든 생산 과정을 최적화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2020년을 목표로 현실세계와 가상공간(IT공간)을 밀접하게 연결하여 Cyber-Physical System에 의한 생산방식의 효율화를 기하고 있다. 자동차 업체를 중심으로 많은 독일 기업 및 대학이 참가하고 있으며 Siemens AG 기술자도 멤버로 참가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중소 기업체도 CAD/CAM 사용이 이미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2D 도면 위주에서 3D CAD/CAM 영역으로 빠르게 전환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업 현장은 대기업과의 연계성 및 동종 협력업체와의 공생 관계상 2D와 3D를 동시에 병행하는 2.5D 정도로 진행되고 있어 기존의 2D만 하면 되던 작업자들에겐 차라리 3D만 하는 것도 아니고 2D까지 해야 하는 이중고를 감수해야할 과도기적인 실정이다.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발전하여온 CAD/CAM/CAE기술이 최근에는 공작기계 산업으로 확산되어 크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3차원 CAD를 중심으로 한 프로덕트 모델(Product Model)의 활용은 글로벌 생산의 기반기술이 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 등 개도국과의 경쟁력을 되찾아 공작기계 산업의 글로벌화 된 생산체계가 확립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자
Hideki Aoyam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81(3)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06~210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