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오엽송(잣) 종자외피 알칼리 추출액(SPN)의 생리활성과 활용 전망

전문가 제언

5엽송의 외피 알칼리추출액(SPN-1SPN-2)은 탁월한 항 HIV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고 SPN-1 SPN-2의 항HIV활성(SI=23,74)은 다른 식물 유래의 리그닌 배당체획분(SI=7~311)과 거의동등한 luteolin 배당체(SI=2~7),tricine(SI=24),치환기도입글루칸(SI<1)탄닌류(SI=1~11), flavonoids(SI<1),몰식자산(SI<1),(-)epigallocatechin3-O-gallate (EGCG)(SI<1) curcumin chlorophyllin(SI=5),한방제제(SI<1) 및 그 구성 식물추출액 (SI=1.3)보다 높다.

 

오엽송의 외피의 알칼리추출액(SPN)은 염증을 일으키는 치아선유아세포를 생산 촉진하는 PGE2의 생산을 강하게 억제하고 myeloperoxidase 양성세포의 요오드화를 촉진하기 때문에 항균활성도 기대된다.

 

SPN-1 SPN-2의 효과는 구내염이나 편평태선(Lichen planus)등의 바이러스나 세균성 질환에 유효효과를 보여 실제 솔방울리그닌배당체-비타민C 정제는 herpes 감염 환자의 증상을 완화 하였고 kumasasa알칼리추출액의 장기섭취로서 Lichen planus dysplasia 의 증상완화 하고 구강내의 리스상이나 그물망모양 흰반점의 범위를 적게하였고 또 침(타액)IL-6 IL-8량을 초기의 1/3량 이하로 감소된 보고도 있다.

 

SPN-1 SPN-2CYP3A4 저해활성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판명되어 CYP3A4의 대사증강 병용약으로 이용할수 있어 CYP3A4로 대사되는 항암제나 항균약의 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는 계속연구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우리나라 고유의 오엽송의 외피 알칼리추출물을 각종 난치병의 원인 치료 및 완화제로 개발함으로서 질병으로 고통 받는 환자에 도움을 주고 우리자원의 활용으로 소득증대와 제약기술 발전에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하여 관련해당 연구기관에서 계속 잣의 외피 효능을 계속연구하고 기존기술을 종합하여 벤취마킹하여 산업화 실현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SAKAGAMI Horosh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7(1)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9~26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