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에서 접착제를 사용한 접합부품을 필요에 따라 해체하는 기술

전문가 제언

접착제는 전통산업에서부터 하이테크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접합용도로 적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 차체 경량화를 위하여 구조용 접착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된 재료는 고가일 뿐만 아니라 환경측면에서도 리사이클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리사이클을 위해서는 각 부품이 손상되지 않고 품질이 원래대로 유지되도록 분해할 수 있어야 한다. 접합한 구조물 혹은 부품의 리사이클 혹은 수선을 위하여 해체성 접착제 기술과 공정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최근 크게 증가하였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유럽연합에서는 2015년까지 모든 차량은 95%까지 리사이클이 가능해야 한다고 강제적으로 목표를 설정하였다. 다른 국가에서도 자동차 부품의 리사이클 확대를 위한 규정이 도입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해체성 접착기술 및 접착제 제조기술에는 한국 신발 피혁 연구소의 김구니 등의 폴리우레탄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신발용 해체성 접착제 제조기술 개발”, 김동호 등의 우레탄계 해체성 접착제의 해체특성에 관한 연구가 있다. 김동호 등의 연구는 원문에서도 수차례 인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분야의 기술 개발에 관한 관심이 수년전부터 제기되어 왔으나 실제 연구보고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유도가열방법과 TEP 사용을 결합하여 접착제에 의한 접합을 쉽게 해체하는 확실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김구니 등의 연구에서는 합성고무 접합체의 해체에 극초단파를 이용하였다. 이외에도 문헌에는 접착제의 가역성, 즉 해체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분석자의 분석보고서 자동차 수리 및 리사이클을 위한 접착부품의 접착제 제거기술 발전을 참조할 수 있다.

 

접착제 제거에 관련된 연구는 일반적으로 전기전자 제품과 자동차의 리사이클 및 의료용 목적으로 주로 수행되고 있다. 또 이 분야의 연구는 선진기업에서도 최근에야 개발하기 시작한 것이므로 연구논문과 특허출원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국내 연구진도 관심을 갖고 도전한다면 충분히 선도적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M.D. Banea, L.F.M. da Silva, R.J.C. Carba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59()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Adhesion and Adhesiv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4~20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