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육산업의 바이오에너지 잠재력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 도축장 배수는 1990년대부터 환경규제가 엄격해 지면서 COD 5003,000ppm, 그리스 100300ppm의 배출수를 가압부상 방법으로 그리스를 분리 제거 한 다음 활성오니법 및 살수여상법 등의 생물학적 처리로 COD 7780%를 제거하고 있다. 최근 고농도 FOG(Fat, Oil, Grease)를 함유하고 있는 도살장폐기물로부터 혐기성소화에 의한 바이오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연구가 대학 및 연구소에서 진행 중이다.

 

육가공산업은 일반적으로 지역경제에 큰 해택을 주고 있으나 처리되는 축우로부터 발생되는 오염고형물과 고농도폐수는 주변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더더욱 불충분한 폐기물관리는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데 특히 처리되지 않고 흘러내리는 피는 반드시 미생물 군에 의한 처리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도축장 폐기물관리에는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공정을 베이스로 한 기술이 필요하다.

 

액 도살장 폐기물의 혐기성소화와 관련된 CSTR 소화에서는 온도 37, 체류시간 17, 350/일의 원료공급, 고형물농도 6% pH 6.9가 최적조건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적인 최적운전 조건의 혐기성소화 공정을 거친 유출수의 COD 감소율은 슬러지 75.3%, 액체유출물 97.8%이고 바이오가스 생산은 10.8l/일이다.

 

이 글에서는 혐기성소화가 가장 유용하고 가장 저렴한 폐수처리 공정이며 부가적인 이점은 바이오가스와 부산물인 소화물질을 얻게 된다. 각 공정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 혐기성소화 장치는 폐수처리 공장의 비용절감, 온실공해 감소, 폐수의 청정처리 달성과 탄소세 절약 및 바이오가스와 소화물질로부터는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저자
Ihsan Hamawand,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4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7~51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