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용융 및 반응고가공의 연구개발 경위와 과제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CO2 발생량을 줄이기 위한 자동차의 연비향상 수단으로 자동차 경량화 부품이 경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고압충전 다이캐스팅, 저속충전 다이캐스팅 등 여러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들 중에도 반응고 주조법은 저속충전 다이캐스팅법으로 레오캐스팅법과 틱소캐스팅법이 있다. 본고의 반용융 가공과 반응고 가공 연구 개발은 공업적으로 응용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라고 생각된다.
○ 반응고 주조(Semi-Solid Casting)법은 초정을 입상화해서 고액 공존 상태에서 주조하므로 주조품에는 응고 수축량이 작아서 기포 발생이 적은 편이고 점성유동이기 때문에 빨려 들어가는 가스양이 적고 잠열량이 적어서 금형 수명이 긴 특징이 있다.
○ 반응고 주조법은 Rheo Casting법과 Thixo Casting법이 있다. 레오캐스팅법은 합금을 액체 상태로부터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초정을 입상으로 성장시켜 적당한 고상률에 도달된 시점에서 성형하는 반응고 주조법이고, 틱소캐스팅법은 입상조직을 생성시킨 슬러리를 응고시켜서 빌릿을 제조하고 이 빌릿을 재용해 슬러리로 하여 고액 공존 상태에서 주조하는 반용융 주조법인데, 빌릿 재용해는 본고의 New Rheo Casting법과 유사한 면이 있다.
○ 반응고 주조법은 일반적으로 고상률이 50∼60% 이하에서 주조품을 제조하나 반용융 가공은 많은 경우에 피가공재의 형상 유지능력이 요구되므로 고상률이 70% 이상의 범위에서 가공하는 경우가 많다. 어떠한 금속에서나 양 가공법에서의 피가공재의 변형, 유동거동을 같은 이론으로 취급하기는 곤란하다.
○ 레오캐스팅법이나 틱소캐스팅법에 의한 자동차 경량화 부품제조가 선진국에서도 크게 발전되지 않고 현재 연구 개발되고 있는 상태에서 우리나라도 아직 반응고 주조법에 의한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거나 연구 개발한 실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앞으로 산학연이 협동하여 반응고 주조법의 특징을 이용한 연구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 저자
- Kiuji Gak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56(4)
- 잡지명
- 素形材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7
- 분석자
- 황*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