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성형 표피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 부품시장 글로벌화에 따른 가격경쟁력 제고를 위한 부품 메이커들의 기술개발로 부품의 경량화는 물론 성능개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부품소재에 있어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한 부품개발에서 바이오 플라스틱의 활용 예로 자동차의 바닥재, 수지 백 도어모듈의 개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이용, 폴리 카보넷(PC)제의 자동차 창에의 적용 등 금속이나 유리의 대체 재료로 수지재의 사출성형에 의한 부품제조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 이와 같이 자동차 부품소재의 수지재로의 대체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사출성형에 의한 표피 기기 패널을 박판 성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자동차부품 제조 신흥국가들에 보급적용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은 물론 좋은 평을 받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표피기기패널의 박판화는 1.0mm의 두께로 사출성형 되기 때문에 판의 웨이브발생의 염려나 부품형상에서 살이 두꺼운 곳에서의 수지수축에 의한 옴폭 들어가는 현상 또는 사출 시의 수지합류 되는 곳의 이음라인발생 등의 문제점을 클리어 했다는 보고이다.
○ 미래의 자동차는 식물로 만들 것이라는 연구보고도 있듯이 자동차 부품소재의 친환경 소재인 유기 재질 화는 더욱 가속화해 갈 것으로 사료되어 자동차 동력원(화석연료 대체 하이브리드 화나 전기자동차 등)기술개발에 뒤지지 않게 부품소재 개발에도 역량을 기울여야 할 시기가 도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우리나라도 이에 대처할 수 이도록 연구노력 할 것을 기대한다.
- 저자
- M. SUHARA, K. TOKUMO, K. ISHII, T. NAGAO, A. MIZUTANI, M. KOMATSU, S. HIJIKATA and M. TACHIBAN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69(4)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6~31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