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천연 장미꽃에 함유된 향기성분의 생리작용

전문가 제언

식물에서 추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정유(essential oil)로서 활용되고 있다. 식물 정유는 항균작용, 항염증작용이 있어 주목을 받았으며 따라서 경험적으로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천연향료 및 합성향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식물 정유를 이용한 방향요법은 정유를 도포하거나 흡입하기도 하며 일부지역에서는 내복 등의 방법을 통해 직접적으로 향료의 효과를 얻으려하기도 하지만 작용경로로서 직접적인 경로 외에 향기로서 인지되는 것에 의한 간접적인 효과도 조합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직접적인 약리작용으로서는 전통적으로 여러 가지 정유의 작용(항균작용, 항산화작용, 항염증작용 등)이 알려져 있고 현재는 학술적으로도 그 효과가 확인되어 있는 것도 많다.

 

본 보고서에서는 천연 장미에 함유된 각종 향기성분을 분석해 그 생리효과를 조사했는데 그 중 시트로넬리 아세테이트에 대한 생리효과를 기술하고 있다. 시트로넬리 아세테이트는 향료 조제 시 달콤한 장미 향기성분(rose note) 만들 때에 자주 사용되는 성분인데 피부의 림프관 기능을 개선하는 새로운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 물질은 향기로서의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림프관 신생인자인 VEGFC라는 물질 생산을 도와 피부노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장미 향료성분인 시트로넬리 아세테이트에 세포독성을 갖지 않고 표피 각화세포로부터의 VEGFC 생산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장미 정유에 대한 향기성분 및 효능 구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은 상태다. 우리나라에서도 유전자 변형을 통한 새 품종의 장미가 개발되고 있으며 따라서 장미 향기를 이용한 기능성 물질 개발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Mio Moriyama, Kentaro Kajiy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31(12)
잡지명
BIO INDUSTRY(バイオインダストリ-)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9~33
분석자
백*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