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습관이 장내 미생물총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사람의 장 표면에는 매우 복잡한 미생물이 군집을 이루고 있다. 이들 장내 미생물총은 다양한 측면에서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미친다. 건강한 사람의 장내 미생물총은 비소화성 식이성분을 발효시켜 숙주인 사람에게 영양소와 에너지를 공급하고 면역계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그러나 장 미생물은 위 장관질환이나 비만 등 대사증후군을 일으킬 수도 있다.

 

장내 미생물총과 관련된 질환연구에서 건강한 사람의 장 미생물 조성과 특정 균주의 물질대사를 연구한 결과 식습관이 단기간 또는 장기간에 걸쳐 장 미생물 조성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식이요법(diet)을 통한 장내 미생물총의 재구성은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특정질환의 치료예방을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부상되고 있다.

 

이 리뷰는 사람의 장 미생물 유형(enterotype)을 제1유형(Bacteroides), 2유형(Prevotella), 3유형(Ruminococcus)으로 분류하고 유아와 성인의 장 미생물 형성과정에서 출생(제왕절개와 정상출산), 수유방식(모유와 이유식), 식습관(식물성과 동물성 식품) 등이 사람의 건강과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면역 관련 대사성 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서 비소화성 섬유소의 식이요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최근 국내에서는 교사의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 행동, 식습관, 건강 관련 생활습관 연구(장혜순 2015), 농촌지역 노인의 짠맛 기호도와 식습관 및 건강 위험인자와의 관계(이미숙 2014), 죽순의 식이섬유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박은진 등 2013) 등 사람의 장내 미생물총, 식습관, 식이성분과 건강 관련 연구가 산발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장내 미생물총은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환경요인이다. 그러나 미생물총의 조성은 개인 간에 차이가 크며 섭취하는 음식물에 따라 다양성과 대사산물도 달라진다. 따라서 장내 미생물총을 조정할 수 있는 식이요법은 건강유지를 위한 최선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앞으로 어떤 장내 미생물총 조성과 건강에 대한 체계적인 산학연 협동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Joel Dore and Herve Blottier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95~199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