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루마이트 피막 촉매체로서의 기능화와 가능성

전문가 제언

알루미늄 양극산화 촉매는 규칙적인 미세 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장식이나 내식성 확보의 한계를 벗어나 기능성 나노표면처리 기술로 전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경량화와 함께 알루미늄의 연료전지 멤브레인 촉매는 충전전원이 정전되었을 때에 연료전지를 가동할 수 있게 해 준다.

 

일본에서는 2025년 연료전지 시장이 1조 1천억 엔 이상으로 늘어 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메탄, 등유, 에탄올도 사용가능한 내열 알루마이트 촉매가 개발성공된다면 바이오 에탄올 연료전지 개질기를 대량생산할 수 있다 때문에 제조비용의 절감과 함께 세계적인 글로벌 시장을 획득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도 보급이 요구되는 가운데 알루마이트 니켈촉매는 생물자원의 연료전지 개질기에 사용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 일본의 C. Okuno는 연료전지 개질기의 기동시간이 1시간 걸리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알루마이트 촉매를 연구개발한 지 30년이 경과하였고, 촉매제조 기술로서도 어느 정도 확립되어 있다. 2014년 Tokyo대학에서는 알루마이트 촉매기술 가운데, 지금까지의 입상촉매나 벌집상의 촉매와는 차별화된 형상의 촉매를 개발하였다. 2017경부터 업무용산업용으로 고체전해질형의 연료전지(SODC)가 보급되기 시작하는데 개질기에도 통전형의 내열 알루마이트 촉매가 적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2015년 부천의 영광금속에서도 금의 나노입자 배열을 전기화학적으로 석출시킨 후, 알루미늄을 용해하여 다양한 나노 복제기술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양극산화에 의한 다공질 알루미나 스루 홀 내부에 Au나노입자를 3차원적으로 조합시켜서 광전장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향후 표면처리 현장의 기술정보 제공과 함께,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알루마이트 촉매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정보제공과 함께 비에 젖지 않는 초발수초발유의 자동차 표면처리나 방수의 등산복, 장비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Hideo KAMEYAM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5(9)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20~425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