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 수로의 건강영향평가(HIA)

전문가 제언

수로는 고대사회로부터 인간에게 식수공급, 수송, 생선을 잡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사람들은 강, 호수, 바다를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수변지역은 여과활동과 경관의 가치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자원의 이용측면에서는 서로 이해가 상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물의 다목적인 이용은 인간건강에 복잡한 영향을 주고 있다.

 

건강영향평가(HIA: Health Impact Assessment)는 공적인 의사결정을 할 때 건강에 대한 중요성을 고려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시개발, 천연자원의 발굴, 수송계획과 같은 개별 HIA는 각각의 특성과 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수자원과 수변공간에 영향을 주는 결정에 대한 HIA를 수행한 사례는 제한적이다. 본 원고는 미국과 푸에르토리코에서의 물과 관련된 결정에 대한 4종의 HIA를 기술하고 있으며, 각각의 HIA가 목적과 지역도 다르지만 몇 가지의 공통적인 주제가 보인다.

 

수자원에 관련이 되는 의사결정은 사용목적 사이의 경쟁성, 기관과 관할권의 복잡성, 과학적 불확실성, 환경변화의 기간, 문화적 및 역사적 가치의 다양성, 개인의 사용과 공공의 접근 사이의 교환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

 

본 원고에 기술되어 있는 4종의 사례연구는 수변에 관련되는 어떠한 결정을 조사할 때 기회와 도전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사례와 공통의 주제를 분석하면 향후 수변지역 및 밖의 지역에 대한 HIA를 실행할 때에 교훈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삶의 질 향상과 함께 환경의 질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높아졌으며, 이에 부응하여 2008년에 환경보건법을 제정하게 되었다. 환경영향평가법에 의해서 시행하고 있는 모든 프로젝트들에 대해서 환경과 건강을 통합한 “환경건강영향평가”의 항시 실시의 주장이 설득력이 있다고 할 것이다.


저자
Katrina Smith Korfmacher,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2()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00~321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