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루미늄 양극산화 피막에의 윤활성 부여

전문가 제언

알루미늄을 양극에 걸고 황산이나 수산, 옥살산 용액에서 전해하면, 양극에는 산소에 의해서 소지금속과 밀착력이 강한 산화피막(Al2O3)이 형성된다. 전기도금에서 부품을 음극에 걸고 도금하는 것과는 차이점이 있다. 알루미늄, 금속의 순도가 높을수록 착색에 유리하다. 헤어드라이 케이스나 자동차 내열시가부품 제조에는 금속염을 사용한 전해착색법이 유리하다.

 

양극산화에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알루미늄 외에 Mg, Zn, Ti, Ta, Hf, Nb의 금속표면에도 양극산화 처리를 하고 있다. 스마트폰, 방열기판 수요가 늘면서 최근 MgTi 표면의 양극산화 처리도 점차 용도가 늘고 있다. 2014년 일본 Hokkaido 대학의 Hiroki HABAZAKI 등은 양극산화를 이용한 금속표면의 초발수와 초발유의 정적인 접촉각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기술은 연잎이나 나비의 눈을 모방한 표면처리 기술로서 생체 나노소재 표면처리 적용에 연구를 적용할 것으로 밝혀졌다.

 

2013년 국내에서도 플라스마 전해산화 공정 중 전해액 내의 인산염 변화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 산화피막의 형성에 관한 논문이 한국진공학회에 발표되었다. Al6061 소재에 플라즈마 전해산화 공정에 사용되는 전해액의 종류 및 농도, 시간의 변화에 따른 산화 피막의 변화를 내전압이 분석되었다. 플라스마 전해산화 기술은 알루미늄 소재에 대해 기존의 양극산화 피막, 전해 경질크롬 도금 및 플라스마 세라믹 용사기술로는 구현할 수 없는 고기능성의 표면처리 기술이다. , 폐수처리가 없어 친환경적이며 경도, 내부식, 내마모, 전기절연, 열저항, 피로강도를 얻을 수 있다.

 

양극산화 산화기술에 AuNb 나노석출기술을 융합한 도금, 에칭 기술적용으로 미세 스루 홀 확대를 위한 전해조건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이에 소재를 비롯하여 첨가제나 전해조건, 컬러구현을 위한 전압범위 등, 다양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중소기업 현장에는 인산의 종류 및 농도, 시간을 조합한 최적조건과 산화피막 물성제어를 위한 도금표면처리 니즈기술 정보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저자
Hideaki KANEK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5(9)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32~436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