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용 고효율 가스터빈과 그 운전 실적
- 전문가 제언
-
○ 고효율 가스터빈 발전플랜트는 건설기간을 다른 발전설비보다 훨씬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 대용량화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화력발전 시스템이다. 한편 가스터빈 발전의 고효율화에는 가스터빈 입구온도의 고온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가스터빈 복합사이클(GTCC) 발전은 가스터빈과 그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증기터빈으로도 발전할 수 있는 고효율?청정시스템으로서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발전설비 중에서 효율이 가장 높다.
○ 본고는 일본 MHPS(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사의 고효율 가스터빈 개발상황과 운전현황(특히 한국에 수출한 발전용 고효율 가스터빈 10기의 최근 운전결과 등)을 소개하였다. 동사는 가스터빈에 관련된 연구개발 실적과 원천기술을 많이 소유하고 있으며 특히 2004년부터 일본 국가프로젝트인 ‘1,700℃급 초고온 가스터빈 요소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터빈 입구온도 1,600℃의 고효율기종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용 공랭식 1,650℃급 가스터빈을 개발하여 고효율 GTCC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 가스터빈은 우리나라에서도 전원의 다양화와 분산화, 배열 이용설비의 활용, 열병합발전 플랜트 등으로 많이 건설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원의 안정적 확보라는 차원에서 MHPS사로부터 고효율 가스터빈을 다수 도입하였다. 즉 동사로부터 율촌(여수)에 2기, 신평택에 2기, 동두천에 4기, 신울산에 2기, 도합 10기로서 총 475만㎾ 용량의 가스터빈이 이미 도입되어 상업운전 중이며 앞으로도 이미 수주 완료된 4기가 추가로 도입?운전될 예정이다.
○ 따라서 국내의 전력관련 전문가는 MHPS사의 기존 고효율 가스터빈과 GTCC는 물론 본고에서 설명한 고효율 가스터빈의 개발과 운전현황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보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Satoshi Had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52(2)
- 잡지명
- 三菱重工技報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9
- 분석자
- 조*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