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연도금 표면에 형성된 아미노실란-인산 피막의 전기화학적 거동

전문가 제언

전기아연도금은 냉연강판을 소재로 내식성과 도장밀착성 향상 목적으로 자동차, 가전기기 부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부터 사용목적에 따라서 인산염 피막처리나 크로메이트 처리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2007년부터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RoHS)에 의해 유럽에 Cr6+를 비롯하여 Pb, Cd, Hg를 함유한 표면처리 제품은 수출규제를 받고 있고, 폐수 중의 인(P) 함량도 총량적으로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3년부터 국내 도금현장에서는 환경개선과 함께 내식성, 도장밀착성 향상 목적으로 아연도금 후 3가 크로메이트 처리공정으로 변경하거나 6가 크로메이트 처리 후 불소수지 코팅의 복합표면처리를 개발하게 되었다. 2007년 독일의 A. AshirgadeS. Bafna6가 크로메이트 대체를 위한 친환경적인 유기 기능성 실란커플링 코팅을 발표하면서부터 세계적으로 아연도금 후처리 공정개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2003년부터 국내 SQ 마크를 보유한 현대자동차 아연도금 협력업체에서는 종래의 6가 크롬이나 크로메이트 대체기술로서 3가 크로메이트나 크로메이트 생략형 도금기술 개발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인천 남동공단의 삼진금속에서는 Zn-Ni 합금도금을 개발하였고, PMPT사는 Zn-Ni 합금도금 자동차 스피커와 클랙슨, 엔진 브래킷, 브레이크 튜브에 합금도금 하여 스페인에 수출해 오고 있다. 하지만 Zn-Ni, Zn-Sn, Zn-Co합금도금은 흑색컬러를 얻기에 품질향상과 원가절감의 많은 문제점이 내재해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 도금현장에서는 3가 흑색 크로메이트 처리와 함께 흑색 코팅기술 개발에도 착수했다.

 

자동차 엔진이나 브래킷, 와이퍼에는 내열내식성, 도장밀착성과 색상까지 요구된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이상의 복합특성 표면처리 개발이 시작되었다. 2015년 반월공단의 진일써핀에서는 3가 흑색 크로메이트 브래킷을 생산하여 현대기아자동차에 공급 중이며 태양금속공업 주식회사는 자동차용 볼트를 수출하고 있다. 내식내열 도금 후처리와 함께 밀착성, 컬러착색도 병행할 수 있는 전기화학적 도금기술 정보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저자
Kazuhisa OKA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66(4)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47~151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