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geria 대륙주변부의 폭 마크 퇴적층 내 가스 하이드레이트 분포
- 전문가 제언
-
○ 프랑스 국립해양개발연구소(IFREMER)와 독일 해양연구소(MARUM) 간의 공동연구를 위한 해양탐사가 Pourquoi pas 탐사선을 이용하여 Nigeria 대륙주변부 폭 마크 지역(수심 1,141∼1,199m)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분포를 연구하기 위하여 2011년에 수행되었으며, MARUM의 해저면 시추선 MeBo가 해저면 하 56.74m까지 퇴적물을 채취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 코어단면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존재는 적외선 열 스캐닝 기록지에 기록된 온도 이상대와 공극수 염화물 농도 이상대로부터 추론되었다. 원위치 퇴적물의 온도측정 결과 폭 마크 A 중심부의 지온변화도가 2580C/km로 상승되었으며, 이는 주변 퇴적물의 지온변화도(720C/km)보다 4.6배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가스 하이드레이트 분포와 폭 마크의 열적 영역은 주로 유체흐름의 강도, 주기성 및 방향에 의해 조절되며, 유체흐름,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 및 용해, 열적 영역 간의 상호작용이 Nigeria 대륙주변부에서 폭 마크의 형성 및 발달을 지배한다고 제안하였다.
○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추운지역이나 깊은 바다에서 저온과 고압상태에서 천연가스가 물과 결합해 생긴 고체 에너지원이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지역적으로 편중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골고루 넓게 퍼져있다. 전 세계 추정 부존량은 약 10조 톤으로 전 세계의 석탄과 석유를 합한 양보다 많다.
○ 한국의 울릉분지에서는 해저면 퇴적층에서 가스 침니 구조를 다수 발견하였으며, 많은 곳에서 BSR을 확인하였다. 특히 해저면에서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산출상태는 폭 마크와 깊이 연관되며, 가스 하이드레이트 발견을 위해 폭 마크를 중심으로 시추를 실시하고 있다. 이 논문이 폭 마크의 형성 및 발달 이해에 크게 도움되리라 생각한다.
- 저자
- Jiangong Wei,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59()
- 잡지명
-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59~370
- 분석자
- 박*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