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하수슬러지 축적에 의한 토양미생물 기능과 진균의 다양성
- 전문가 제언
-
○ 최근 유럽에서 폐수처리플랜트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의 양이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도시화, 산업화의 확대로 슬러지 발생량은 점차 늘어날 것이다. 하수슬러지는 환경보호를 위해 처리해서 재활용하거나 안전하게 폐기되어야 한다.
○ 하수슬러지에는 유기화합물, 영양분, 미량영양소가 들어가 있으며, 미세 오염물질 및 병원성미생물도 포함될 수 있다. 슬러지는 비료로도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활성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병원성균류의 확산을 모두가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슬러지는 토양처리 하기 전에 석회로 소독하거나 고온소화, 저온살균 등의 안정화과정을 거치야 할 것이다.
○ 슬러지의 처리는 소각, 매립, 해양투기, 토양처리 등의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매립과 토양처리는 가장 경제적인 하수슬러지의 처리방법으로 처리과정에서 토양의 미생물변수를 포함하는 환경상태를 모니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수슬러지의 균류와 토양 미생물군의 기능적 다양성에 대한 하수슬러지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 우리나라도 공공 하수처리시설의 확충과 하수관거 정비사업의 시행으로 슬러지의 발생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하수슬러지의 해양배출금지로 육상처리로 전환하고 있으나 처리비용의 상승과 악취발생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하수슬러지의 토양처리와 동시에 슬러지의 감량화, 연료화의 추진 그리고 효율적인 처리기술개발도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Magdalena Frac,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11()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891~8908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