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밴드(근적외 4밴드 + 가시광 3밴드) 카메라 개발
- 전문가 제언
-
○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근적외선 영역의 빛은 촬상 소자에 감광이 되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촬영이 가능하다. 근적외선 영역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근적외선 분광반사 특성에 따라 흑백 휘도 이미지로 나타난다. 나이트 뷰 시스템으로는 근적외선 광의 휘도 반사율이 높게 나타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야간에도 보행자를 감지할 수 있다.
○ 감시성능 향상과 소형화를 위해 5개의 CCD를 이용한 근적외선 영역 4파장대와 가시광 영역 3파장대를의 동시촬영이 가능한 7밴드 카메라가 개발되었다. 카메라는 근적외선 투과 렌즈, 색분해 프리즘에 증착된 밴드패스 필터, 근적외선 4파장대를 촬영 가능한 4개의 CCD와 가시광 3파장대의 촬영을 위한 1개의 CCD로 구성되어 가시광에서 근적외선 영역의 이미지까지 식별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근적외선 4밴드와 가시광 3밴드를 동시촬영이 가능한 7밴드 카메라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 최근 차량의 블랙박스에 내장된 카메라나 도시 곳곳에 설치된 CCTV 등에서도 세밀하고 확실한 상황 분석을 위하여 고해상도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커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악천후와 열악한 조명에서 고속으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고해상도 이미지 확보를 위해서는 별도의 설계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 우리나라의 각종 산업용 디지털 카메라는 산업현장의 자동화 라인에서 각종 센서와 결합되어 물체의 윤곽을 검출하고 컨베이어 부품의 자동 정렬과 선별 등에 이용되고 있다. 다중라인 시스템 고속 카메라로는 초당 340프레임의 속도로 미세 패턴이나 표면의 이물, 스크래치, 각종 코드 리딩 등의 실시간 검출에 이용되고 있고 7,100만 화소의 고해상도 카메라도 이용되고 있다.
○ 디지털 카메라로는 레이저 광과 광섬유를 연결, 구조물을 해체하지 않고 비접촉으로 미세조직 검사를 하며 산업 및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이용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용 적외선 카메라나 WiFi 듀얼밴드 카메라 외에는 연구된 것이 없어 본 연구는 디지털 카메라 제조사에서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Yoshikatsu Kimurra, Yusuke Kanzawa, Kiyosumi Kidono, Masaru Og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69(3)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86~90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