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장과 면역 균형: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역할
- 전문가 제언
-
○ 식물의 생장과 면역 간에는 균형이 있다. 기초적인 역할 기전은 분명치 않더라도, 생장촉진 호르몬 브라시노스테로이드(BR)가 생장-면역 균형의 중요한 조절인자인 것으로 최근 알려졌다. 모델식물 애기장대에서 얻은 새로운 증거는, BR 인지에 대해 면역을 억제하는 전사인자 BZR1 및 HBI1이 조절하는 BR 신호와 면역 간의 간접교신을 지적한다. BZR1 및 HBI1이 생성하는 핵심 전사폭포는 복잡한 신호들이 상충하는 곳의 조절-허브로 작용하여, 시의적절하고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생장과 면역 균형의 효율적인 미세-조절을 보장하는 것 같다.
○ 브라시노스테로이드에 관한 국내의 최근연구는, 애기장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종을 이루는데, 즉 “아실화에 의한 브라시노스테로이드 함량조절”, “브라시노스테로이드의 길항적인 생장조절”,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신호에 의한 호르몬 함량조절 분자기전”, “뿌리발육에 미치는 브라시노스테로이드의 영향”, “브라시노스테로이드의 C-26 탈메틸화”, “브라시노스테로이드에 의한 침수스트레스 조절기작” 등으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었으나, 면역과 관련된 논문은 드물다.
○ 이 외에도, “효모 WAT21 세포의 6-Deoxo-형 브라시노스테로이드의 생물변형”, “식물 발육 신호네트워크에서의 브라시노스테로이드”, “효모세포 WAT21의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생합성”,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신호전달경로 조절단백질 동정과 기능 규명”, “활성형 브라시노스테로이드의 항상성 조절에 있어 AtDWF1의 기능 규명” 등이 있다.
○ 지금까지의 연구는 단편적이고, 식물과 병원균의 상호작용에 대한 BR 역할의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모델이 없다는 것이다. 이런 모델을 만들려면, 상이한 식물-종의 활물기생과 사물기생 병원균의 병원성에 미치는 BR 영향을 체계적으로 비교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Rosa Lozano-Dura´n and Cyril Zipfe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20(1)
- 잡지명
- Trends in Pla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2~19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