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상하이에서 대기 오염과 온도가 OHHCD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중국에서 대기 오염과 온도가 OHCDs의 촉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2006-2011년에 중국 상하이에서 대기 오염 및 온도와 일별 OHCDs와의 관련성이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기 오염물질(PM10, PM2.5, SO2, NO2 및 CO), 저온 및 고온은 일별 OHCD 사망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O3의 노출은 OHCD 사망률과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또한 IHCD는 대기 오염과 온도에 민감하지 않았다.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교실과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만성병조사과는 “응급실로 내원한 급성심근경색과 급성뇌졸중 환자의 증상 발현에 대기오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2010) 연구를 수행하였다. 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급성심근경색 환자와 급성뇌졸중 환자의 자료를 통한 급성심근경색 및 급성뇌졸중 질환 발생시간과 대기오염도 자료가 사용된 대기오염이 증상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에 의하면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의 이산화황에 의한 증상 발생 위험도 증가는 증상 발생 전 6시간동안 지속되었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 도관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06-2011년에 우리나라 각 시도별 환경오염지수와 자살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5대 대기오염 물질 중 미세먼지의 변화(PM10의 농도 37.82μg/㎥ 증가)에 따라 전체 자살률도 증가(3.2%)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 신체는 물론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은 대기 오염물질들이 어떻게 질환들을 유발시키는 지에 대하여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부 동물실험과 대규모 임상 실험들을 통하여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추후 더 많은 환자군(모집단)과 기상 자료를 통한 대기 오염의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급성 질환에 대한 대기 오염의 영향을 조사하는 환자-교차연구 설계의 타당성이 보고되었으므로 그것의 사용이 추후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려 된다.

저자
Jinping Dai, Renjie Chen, Xia Meng, Changyuan Yang, Zhuohui Zhao, Haidong K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203()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6~121
분석자
현*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