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혁신의 촉진: 새로운 벤처기업과 기존기업 간의 차이
- 전문가 제언
-
○ 제품혁신은 CD나 디지털카메라 개발등과 같이 기존제품이나 서비스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거나 전혀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제품혁신의 촉진: 새로운 벤처기업과 기존 기업과의 차이”를 주제로 하여 새로운 벤처기업과 기존 기업에 있어서 혁신과 제품혁신을 촉진하도록 고안된 유형이 상이한 공공인센티브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위해 기업가정신, 역량기반관점과 혁신정책문헌의 통찰을 결합한다.
○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프로그램과 다른 기업과의 네트워킹 참여에 대한 지원이 새로운 벤처기업에 대해 제품혁신을 촉진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제시되나 기존 기업의 경우 가장 효과적인 정책은 R&D지출에 대한 세액감면과 혁신활동을 위한 시설이나 다른 인프라획득을 위한 보조금으로 구성된다고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정책이 새로운 벤처기업과 기존 기업간에 구별함으로써 공공지원수단의 최종 선택은 정책수립자에 의해 추구되는 목적에 의거하게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 기술의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영환경의 급변으로 인해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과 기술의 개발을 요구받고 있으며, 그에 따른 기술혁신의 중요 분야로서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을 창출하는 제품혁신은 기업의 성장동력이고 기업의 경영성과를 창출하는 중요한 원천으로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다. 전 세계의 선진기업들은 자체의 전략, 역량,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혁신의 어젠다를 설정하여 이를 강력하게 실행하고 있다.
○ 우리나라 기업들이 글로벌경영에서 국제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글로벌 시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제품혁신이 필수적이다. 기업의 제품혁신노력을 나타내는 우리나라 기업의 R&D집중도(최근 3.4%)는 OECD 30개국 중 4위이나 차원높은 제품혁신활동을 하는 기업의 비율은 중위권에 머물고, 노력에 비해 제품혁신의 성과가 크지 않다. 그러므로 기업들은 R&D투자의 지속 및 확대, 연구역량구축, 시장지향성 강화로 제품혁신을 증대시켜야 하고, 제품혁신을 촉진하는 금융지원과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 저자
- Raquel Antolin-Lopez,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5
- 권(호)
- 41()
- 잡지명
- Technov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25~37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