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aO 함량이 많은 철강 슬래그로 세라믹스 제조

전문가 제언

제철산업은 철강을 생산할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부산물과 폐기물이 발생한다. 철강슬래그는 고로슬래그와 재강슬래그로 나눌 수 있다. 고로에서 철광석을 선철로 만들 때 고로슬래그가 발생하고, 제강슬래그에는 전로에서 선철을 강으로 제조할 때 전로슬래그가 생기고 고철을 사용하여 강을 제조할 때 전기로슬래그가 생긴다.

 

현재 세계 조강 생산량은 연간 약 10억 톤에 이르고 있다. 조강 기술에 따라 나라별로 차이는 있으나 고로슬래그는 1톤 조강 시 약 300kg, 제강슬래그는 전로슬래그의 경우 약 170kg의 슬래그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철강슬래그의 산출량은 4억 톤 이상으로 추산할 수 있다.

 

고로슬래그 중에서 비정질이며 잠재 수경성을 지닌 수재 슬래그는 시멘트의 원료나 콘크리트 혼화제로 활용되고 결정질인 괴재 슬래그는 도로 노반재, 토목용 성토재에 사용된다. 제강슬래그는 미반응 유리 석회를 함유하여 물과 반응할 때 팽창하여 흩날리므로 장시간 야적하여 반응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강슬래그를 40% 함유하고 도자기 원료로 점토, 장석, 석영 및 활석을 사용하여 세라믹스를 제조하는 조건을 조사하였다. 이때 점토와 장석에 함유된 석회와 알칼리의 함량이 다른 원료를 사용하여 적정 소성 온도를 찾았다.

 

지금 철강슬래그 중에서 고로 슬래그의 63% 정도가 시멘트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대부분 토목 성토재나 도로 노반재로 사용하고 있다. 그 성분을 분석해 보면 함량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세라믹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강도가 높으면서 흡수율이 적은 세라믹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점점 고갈되어가는 세라믹 원료 대신 철강슬래그를 사용하면 원료비가 절약될 것이다.

저자
Lihua Zha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4()
잡지명
Materials & Design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08~613
분석자
김*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