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품질인식 신뢰성?측정 기반 프레임워크
- 전문가 제언
-
○ 인터넷 환경에서 전송 서비스 문제를 다루는 QoS(Quality of Service)는 중요한 고려 대상 중 하나다. 전송 서비스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기준은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부분 QoS로 정의한다. QoS는 주로 전송 계층 사용자가 요청하므로 전송 계층 연결을 설정할 때 필요한 서비스의 정도를 매개변수로 표시한다.
○ 네트워크 보안(Network Security)이란 권한 밖의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로 접속 가능한 자원에 접근하려 할 때, 네트워크 관리자가 사용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하부 구조에서의 기본적인 설비 또는 방책이다. 네트워크 보안과 정보 보안의 개념은 서로 교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보안은 일반적으로 조직 경계에서 침입자(블랙햇 해커, 스크립트 키디, 트루디 등)로부터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 지난 2012년 11월 인터넷 침해대응센터 자료를 보면 2012년 한해 11월 까지 국내의 해킹사고 접수 처리는 18,126건, 악성코드 피해신고는 18,937건이며, 해킹사고 접수 처리는 2005년 이후부터 신고건수가 감소하고 있으나, 악성코드 피해신고는 2008년을 기점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 전준헌, 김성철(상명대학교)은 최근 멀티 홉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하이브리드(hybrid) MAC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MAC 프로토콜은 경쟁방식(CSMA) 방식과 비경쟁방식(TDMA)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싱크 노드로부터 멀리 떨어진 센서 노드들은 주로 데이터 측정 임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데이터 발생 및 전송 트래픽이 적어 구현이 간단한 경쟁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 향후 개발해야 할 네트워크 보안 기술은 서비스의 평가를 위한 솔루션에 의해서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네트워크 보안에서 어떻게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적용할지에 대한 정책적인 부분이 빠른 시일 내에 수립되어야 한다.
- 저자
- Prabha R, Krishnaveni M, S H Manjula1, K R Venugopal, L M Patnaik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48()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73~380
- 분석자
- 심*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