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온용 제백 계수 및 전기저항 측정기

전문가 제언

물질의 제백 계수는 온도 차에 의해 생성되는 열전 전압을 표시하며 열전능(thermoelectric power), 열 파워(thermopower)라고도 불리고 단위는 보통 /K이다. 열전 재료의 제벡 계수는 열전 발전이나 냉각과 같은 재생에너지 응용과 관련된 물리적 성질이다.

 

열전 발전기는 주로 도핑한 반도체를 열전 재료로 사용하며 효율은 58%이다. 열전 발전기는 움직이는 부품(moving parts)이 없어 신뢰성이 높으므로 장기간 관리를 하지 않으면서 저전력이 있어야 하는 오지나 우주공간과 같은 환경에 유용하다. 또한, 자동차의 폐열을 이용하여 연료효율을 높이거나, 기타 폐열을 이용한 발전도 실용화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열전 재료 응용에서 중요한 온도영역인 3001,000K에서 제벡 계수와 전기저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 제작하여 자세히 소개하였다. 이 장치의 특기할 구조는 3쌍의 비드리스(beadless) 열전대를 갖춘 샘플 홀더, 외부자기장의 효과를 배제한 마이크로 히터, 다양한 형태의 샘플을 두 개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이다. 기준물질로 사용한 백금선과 니오븀 막대에 대한 제벡 계수와 저항측정의 오차는 각각 2.6%1%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열전소자 개발과 응용에 관한 연구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하다. 미국에서는 NASA, MIT 등에서 초격자, 나노점 등을 이용한 새로운 소자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벤츠, BMW 등 자동차 생산기업과의 협력연구가 활발하다. 열전 발전에서 세계 최고 수준인 일본의 경우, 신에너지 개발기구(NEDO)의 프로젝트에 나노구조의 열전소자 개발이 포함되어 있다.

 

국내에서도 전기연, 기계연, ETRI 등의 출연연구소에서 열전발전과 열전소자 개발연구가 수행 중이며, 표준연은 열전소자 성능평가기술에서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연세대, 서울대, 성균관대, KAIST 등에서도 나노기술을 이용한 기초 및 응용연구가 활발하다. 열전 효과의 기초인 제백 계수와 전기저항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이 논문이 연구자들에게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Murat Gunes, Mehmet Parlak, Macit Ozenba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14
권(호)
25()
잡지명
Measurement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05590101~05590110
분석자
박*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