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야외 기상환경이 어린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도 폭염일 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황사 등으로 대기오염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에, 기상환경에 취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들을 대상으로 열 스트레스나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이상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나 노약자를 대기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도 캐나다의 사례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대기오염물질들을 통합한 오염농도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기 질 건강지표(air quality health index)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장기적으로 대기환경기준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국내의 생물기상학에 관한 연구사례로는 2013년에 국립기상연구소 주관으로 생명/산업기상 기술개발 과제를 통해 기상조건이 건강이나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대기오염이 암, 호흡기질환, 아토피 피부염 등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사례들이 있으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사례는 빈약하며 야외환경에서 어린이의 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사례는 없는 실정이다.

 

어린이들이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대기오염이나 기상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연향에 관한 연구보다 실내 공기 질(indoor air quality)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들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어린이들이 장시간 머무는 학교나 공공시설 내부의 공기 질 측정과 오염노출수준 판단을 토대로 공기 질 개선방안이 도출되어야 한다.

 

국내에서도 폭염발생사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어린이나 노약자들에 적합한 인체 에너지 수지 모델(human energy budget model)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아파트 단지나 공원 등에 어린이 놀이시설을 설치할 때 태양 복사선, 지표온도, 미세먼지, 자동차 배기가스 등과 같은 기상환경 요소들이 어린이 건강과 행동에 미치는 악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여야 하며, 이러한 시설의 설계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저자
Jennifer K. Vano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76()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5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