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표의 오존오염이 농작물의 작황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사례

전문가 제언

오존은 특정 배출원이 있는 것이 아니라 NOX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등의 다양한 전구체(precursor)들과 햇빛이 관여하는 광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되고 햇빛의 강도, 풍속, 온습도와 같은 기상조건도 대기 중 오존농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관리가 힘든 대기오염물로 분류되고 있다.

 

국내 대기환경기준의 오존농도는 8시간 평균치 0.06 ppm(60 ppb), 1시간 평균치 0.1 ppm(100 ppb)으로 되어있고 1시간 평균치가 120 ppb이상 일 때 오존주의보를 발령하고 있으나, 오존농도가 이보다 낮은 수준에서도 인체의 눈과 호흡기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농작물의 수확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환경 기준치를 낮출 수 있는 방안들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농작물에 따라 오존오염에 의한 피해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쌀, 콩 등의 주요 농작물들을 대상으로 오존오염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국내의 대기 오염물 모니터링은 도시지역이나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오존은 오염지역이 광범위할 뿐 아니라 농작물에도 피해를 주기 때문에 농경지역을 포함한 전 국토를 격자망으로 구성하여 오존오염을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도 오존주의보 발령횟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오존오염을 줄일 수 있는 정책들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NOX나 VOC와 같은 오존 전구체들의 오염원 관리와 더불어 오존오염 저감을 위한 국민들의 실천사항들이 적극적으로 홍보되어야 한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쌀과 같은 주요 농작물을 대상으로 오존노출량에 따른 수확량 감소를 예측 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수학적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오존노출량 조절이 가능한 농작물 시험재배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저자
Zhaozhong Fe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99()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2~48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