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농산물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가스 생산의 경제성 분석

전문가 제언

농산물폐기물과 가축분뇨 등의 유기폐기물을 혐기성 소화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면 이들 폐기물이 썩을 때 나오는 악취, 온실가스 등의 발생량과 매립 등 폐기물 처리량을 줄일 수 있으며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고 또한 부산물을 퇴비나 액비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대체에너지 개발, 지구온난화 대책, 자원 활용, 환경대책 등을 한꺼번에 해결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도 일찍부터 가축분뇨 등의 혐기성 소화시설 건설을 장려하였으나 낮은 바이오가스 생산량, 높은 비용, 부산물의 부적절한 처리, 바이오가스에 대한 사회적 지원대책의 미비 등으로 인해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 국내 자체기술 개발 또는 외국기술 도입을 통해 메탄 생산시설을 상용화하였으나 시스템의 신뢰도와 효율성 측면에서 기술개선이 필요하고 특히 유지관리 능력 향상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국종합기술이 의정부의 음식물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정제하여 도시가스 배관망에 공급하는데 성공한 사례가 있고 또한 지엔씨에너지가 한국기계연구원과 함께 바이오가스엔진 발전기술을 국산화한 후 100억 원의 설비투자를 진행하는 등 바이오가스 관련 산업과 시장을 개발하려는 새로운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이 자료는 농산물폐기물이 많이 발생하는 말레이시아의 경우에 이를 원료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을 도입하는 경우의 경제성 분석을 하고 있다. 농업국인 말레이시아의 경우는 원료구입 및 수집비용이 낮아 투자수익률이 12%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어 있다.

 

2014년 국회입법조사처의 조사에 의하면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에는 3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첫째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0.7%로서 OECD국가 중 최하위이고, 둘째는 0.7% 중에서도 바이오가스의 비중이 가장 높지만 이에 대한 재정지원이 감소하고 있으며, 셋째는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를 시행하였으나 실적이 의무공급량의 64.7%로 너무 낮다는 점을 들고 있다. 결국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바이오가스 등에 대한 지원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저자
Maizirwan Mel, Ariff Syamin Hisham Yong, Avicenna, Sany Izan Ihsan, Roy Hendroko Setyobud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65()
잡지명
Energy Procedia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04~214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