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호상 철광상의 성인

전문가 제언

(iron, Fe)은 인류문명이 근대산업사회로 변천해 오는 과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원소로서, 현재 사용되는 금속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철은 기계기구 제조공업, 조선, 자동차 공업, 건설업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호주(28%, 530억톤), 브라질(16%, 310억톤), 러시아(13%, 250억톤), 중국(12%, 230억톤), 인도(4%, 81억톤), 미국(3.6%, 69억톤), 우크라이나(3%, 65억톤), 캐나다(3%, 63억톤), 스웨덴(2% 35억톤), 카자흐스탄(1%, 25억톤) 10개 국에 지구상 총 매장량의 약 86%가 부존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철광석 생산량은 1968829,581톤을 정점으로 점차 그 생산이 감소하여 2003년에는 174,009톤에 불과했고,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2003년에는 약 43,000만 톤에 달하는 많은 광석을 호주(64%), 브라질(26%), 인도(5%), 페루(2%), 칠레(1%), 캐나다(1%) 10여 개 국에서 수입하였다.

 

철을 함유하는 광석광물은 자철석(magnetite, Fe3O4), 적철석(hematite, Fe2O3), 능철석(siderite, FeCO3), 침철석(goethite, Fe2O3·H2O), 갈철석[limonite, FeO(OH)·nH2O]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철광상은 성인적으로 마그마분화, 접촉교대, 열수교대, 열수맥상, 퇴적성층상, 화학적침전, 표사, 풍화잔류, 화산분기 및 변성광상 등으로 분류된다. 남한의 철광상들은 생성시기, 모암 및 성인형의 차이에 따라 광종과 광상의 산출상태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자철석을 채광하였으나, 연천과 소연평도 티탄철광상과 같은 일부 정마그마성 광상에서는 함티탄 자철석과 티탄철석 등을 채광대상으로 하였고, 광상의 형태로 보았을 때 층상규제형 철광상은 옥천누층군의 중앙부에 배태되는 선캠브리아기의 변성철광상으로 충주철광상이 알려져 있다.

저자
Xiao-Qing Zhu, Hao-Shu Tang, Xiao-Hui Su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63()
잡지명
Ore Geolo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65~469
분석자
오*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