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포노화와 알츠하이머병: 텔로미어 단축의 역할

전문가 제언

알츠하이머병(AD)은 치매의 약 6070%를 차지한다. 이는 천천히 시작되어 오랜 기간 동안 점차로 악화되는 만성 퇴행성 신경질환이다. 가장 대표적인 초기증상은 최근의 일들을 기억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병이 진행되면서 일어나는 증상들은 언어장애, 방향장애, 기분장애, 의욕상실, 자기관리소실, 행동이상 등이다. 점진적으로 신체기능이 소실되고 결국엔 사망으로 이어진다. 진행속도는 다양하지만 진단 후 평균 여명은 39년 정도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은 아직도 확실히 밝혀진 것이 거의 없다. , 15%만이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표적인 가설이 아밀로이드가설이다. 이는 베타 아밀로이드(Aβ) 단백질의 세포 밖 침착이 이 병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또 하나는 tau라는 단백질이 세포 안에서 신경원섬유매듭을 형성하는 것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알츠하이머병에서는 대뇌피질과 일부 피질 하에서 뉴런과 시냅스의 소실이 일어난다.

 

보통 2배체세포는 제한된 수의 세포분열을 한다. 가령 세포배양 시스템에서 섬유모세포는 50번의 세포분열을 한 후 노화된다. 이를 세포노화라고 한다. 세포분열 시 일어나는 염색체복제에서 DNA를 복사하는 효소는 염색체의 최말단까지 복사를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염색체가 매번 복제될 때마다 염색체의 길이가 조금씩 줄어든다. 이 말단 부위에서는 TTAGGG 서열이 반복하는데(사람에서는 2,500번 반복) 이를 텔로미어라고 부른다. 이 리뷰에서는 AD와 세포노화의 연결고리를 조사한 연구들의 상황을 검토한 것이다.

 

국내 뇌신경과학 분야의 10년 논문발표 현황을 보면 뇌질환/의약학 분야가 전체의 7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전 세계 발표논문에서의 비중과 비교할 경우보다 약간 높은 상황이다. 뇌신경정보 및 뇌공학 분야의 우수연구 성과 두출에 선정된 4분야 중 하나가 알츠하이머 치매에서 대표적인 병리 구조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조영제 제조였다.

 

저자
Virginia Boccard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22()
잡지명
Ageing Research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