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계면을 통해 본 접착?점착 현상의 과제

전문가 제언

“접착”이라고 하는 현상은 계면을 빼고 생각할 수 없다. 점착과 점착 현상?표면?계면의 연구?기술의 진보와 발전을 위해서는 계면현상을 통하여 접착(점착)을 과학화할 필요가 있다. 계면을 형성하는 작은 양이지만은 한 성분으로서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하여 분자 상태?물성 등의 기초로부터 점착제?복합재료 그리고 표면처리라고 하는 공업적인 내용까지 폭넓은 과제이다.

 

점착제에 대하여 가장 중요한 초기 점착성이라 하는 현상이 고분자특성의 무엇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이것들을 조사하는 것은 접착?점착의 본질을 탐색하는 것으로 재료로서의 고성능화로 연결된다. 본 문헌에서는 몇 가지 현상을 들어 각각에 있어서의 미해결 과제를 살펴보고 있다.

 

21세기 들어와 가장 진보하고 있는 것은 측정?해석 기법이다. 지금까지 보이지 않았던 것이 보이게 되어 미해명 문제가 많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3차원 관찰법(3차원 TEM, X선 CT 등)을 고분자재료에 활용한 측정법의 발전이 기대된다. 3차원 정보는 2차원 정보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정보량이 많고 각종 현상의 해명에 역할을 하고 있어 향후 더욱 많은 현상으로의 확대 전개가 기대된다.

 

계면에서의 접착성, 파괴 메커니즘 등을 기반으로 접착에 관한 설계기준을 정하고 접착의 안전율을 어느 정도 정확히 낼 수 있게 되면 접착의 신뢰성에 관한 회의적인 생각을 불식시킬 수 있어 보다 광범위한 용도 전개가 도모된다. 현시점에서는 접착의 내구성 등에 있어서 오차가 크나, 계면의 미해결 과제가 밝혀지게 되면 이 방면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오늘날 산업 및 일상생활에 활용되는 대부분의 재료는 단일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는 거의 없다. 복합재료의 경우는 타 소재 간의 접합이나 혼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접착(점착을 포함)과 계면 과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자
Toshiaki Ougizaw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51(2)
잡지명
日本接着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7~73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