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석면 폐기물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전문가 제언

자연적으로 형성된 광물인 석면은 가늘고 긴 섬유 형상을 띤다. 석면은 사문석 광물로부터 추출되는 크리소타일(chrysotile) 유형, 각섬석(amphibole) 유형 등을 일컫는 일반 용어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석면은 모두 크리소타일이고 백석면(white asbestos)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석면은 다양한 강점(예: 고 인장강도, 저 열전도성, 비-생분해성 및 화학적 풍화 내구성 등)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주로 건물/단열 재료로 사용된다.

 

농축 석면이 3천여 개 이상의 다양한 상업용 제품에 포함되어 있다. 가장 흔한 석면-함유 제품으로는 바로 건축 재료(예: 석면-시멘트 시트, 석면-시멘트 파이프, 석면 섬유, 단열 제품)를 지목할 수 있다. 오늘날 전세계 석면 사용량의 90%가 석면-시멘트 시트 및 석면-시멘트 파이프 제조에 투입되고 있다.

 

석면 폐기물(AW; asbestos waste) 관리를 위해 다음을 같은 다양한 방안들이 도입되어야 한다: 1) 석면 채광 단계 규제 조치, 석면 함유 제품 제조 단계 규제 조치; 2) 석면 피해 지역민 치료를 위한 의료 시설 건립 및 설비 운용; 3) 석면 대체재 도입; 4) 석면에 대한 대중 경각심 고취; 5) AW 관리와 관련하여, 국제 협력 이행; 6) 석면 생산, 소비, 수입 관련 데이터 관리; 6) AW 관리 지침서 개발; 7) 석면 생산 금지, 석면 노출 제거, 석면-관련 질병, AW 처리 및 재활용 기술, 석면 제거 등 관련 연구 개발; 8) AW 관리 정책 개발.

 

AW 재활용 기술로는 이산화규소와 마그네슘 추출 기술, 건축 재료를 위한 광미 재활용 기술, 칼슘 설포알루미네이트 용재(clinker)의 조제용 물질을 위한 시멘트-석면의 열변환 기술 등이 있다.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 개발 동향 : 석면 및 석면 폐기물(AW) 관리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2015년에 경북대학교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 기반 건축물 AW 관리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향후에는 커뮤니티 맵핑 기술을 활용한 국가 차원 또는 지역 차원 실시간 석면 지도를 제작하여 AW 문제 해결의 역동적인 연구 개발 시작점으로 삼아야 한다.

저자
Li J,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81()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8~226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