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DLC 코팅기술과 향후의 동향

전문가 제언

각종 방법으로 성막된 DLC의 구조 및 수소함유량의 차이를 나타내는 A.C FerrariJ. Robertson에 의하여 정의된 3원도의 DLC 분류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산업적인 이용을 위한 DLC의 분류를 할 필요가 있다. , DLC의 종류를 분류하는 방법이나 각각의 막의 제조공정에서 품질관리방법의 확립이 중요하다 하겠다.

 

최적설계를 한 Al 합금용 DLC의 응용으로는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의 부품, 또는 Al 합금제 금형, 각종 접동부품 등이 있으며, 향후 다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고기능성 DLC는 기반적인 재료로서 널리 사용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근래 기능성을 부여한 DLC에 의한 태양전지와 의료재료에의 응용연구가 진척되고 있다. 반도체 특성을 부여하여 P형이나 N형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안전하고 값이 싼 탄화수소계 가스를 사용한 환경적합형 성막프로세스로도 제작이 가능하므로 차세대 태양전지로 응용연구가 되고 있다. 또 흡수파장역을 자외선에서 가시광 영역까지 제어 가능하여 밴드캡도 컨트롤되어 각종 센서나 반도체로의 이용도 기대된다.

 

의료분야의 응용으로 수술용 칼과 가위, 스텐트, 치과교정용 와이어나 인공심장·인공관절에의 코팅연구도 되고 있다. 세포접착성이나 혈소판 부착성은 표면에너지에 기인하므로 최적인 접촉각의 설계를 DLC로 하는 응용이 연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임플란트 제조회사에서 스텐트 및 생체재료의 연구개발과 이들 재료에 DLC의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향후 DLC에서 진화한 차세대 코팅으로서 고기능을 발휘하여, 환경문제의 해결이나 의료에 공헌하여 인류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저자
M.Hiratsuk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56(650)
잡지명
塑性と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96~200
분석자
김*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