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렉트로크로믹 고분자의 최근 동향
- 전문가 제언
-
○ 본고는 유연성과 소비 전력이 적고, 공정 수월성이 있어 차세대 OLED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등에 응용 가능성이 높은 일렉트로크로믹(electrochromic, EC) 폴리머에 대해 정리한 총설이다. EC 폴리머는 전압 인가에 의해 일어나는 산화환원반응에 따라 색이 가역적으로 변하는 고분자로 급속히 발전하는 플라스틱 전자소자에 응용이 가능한 소재이다.
○ EC 폴리머는 유연성, 경제성 및 용액공정으로 프린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폴리머들이 2개 이상의 산화-환원상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색을 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내구성만 높인다면 무기계 EC 소재를 보조하거나 대체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폴리머이다.
○ 본고에서는 높은 열안전성과 기계적 강도가 높은 폴리이미드(PI), 폴리아마이드(PA), 폴리노보넨(PNB)을 축합 반응이나 ROMP 방법으로 합성한 새로운 EC 폴리머를 소개하고 있다. 분자의 구조개선, 폴리머의 주 사슬에 전기활성물질을 삽입하거나 펜던트 그룹을 부착시켜 EC 폴리머의 특성과의 관련성을 고찰하고, 차세대 EC 폴리머에 대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연구과제들도 제시하고 있다.
○ 기존 EC 소자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재료와 방법에 더하여 폴리머가 갖는 유연성, 낮은 전력소모, 및 낮은 공정비용 등의 장점을 부여한 새로운 EC 폴리머는 EC 소자뿐 아니라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소재로 응용 가능성이 기대되나, 앞으로도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높은 전기 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이미 디스플레이 산업에 있어 삼성디스플레이가 투명 OLED와 Mirror OLED 디스플레이를 선보이는 등 LG디스플레이와 함께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나, EC 폴리머와 같은 새로운 소재를 산학 연계를 통해 개발해 나간다면 소니나 파나소닉과의 기술 격차를 크게 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Taufik Abidin, Qiang Zhang, Kun-Li Wang, Der-Jang Liaw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5()
- 잡지명
- Polym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293~5304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