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성 물질-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 전문가 제언
-
○ 포도는 곰팡이의 공격을 받으면 레스베라트롤(RSV)을 분비하기 때문에 다른 식물에 비해 다량 존재하며 주로 붉은 포도의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RSV는 기하학적 이성질체로서 시스형과 트랜스형이 있으며 주로 트랜스-레스베라트롤 형태로 이것이 RSV제재로 이용된다.
○ 하루에 0.5에서 5g까지 투여한 결과, 투여량이 낮은 증상에서는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60kg의 체중을 가진 사람에게는 450mg의 투여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비만은 인슐린 분비에 대한 저항과 T2DM의 발생에 관여하고 있으며 RSV제재가 대사증후군과 비만환자를 대상으로 인슐린의 민감성에 관한 조사에서 비교적 좋은 치유의 효과를 가져왔다는 결과도 있다.
○ 심장혈관질환과 당뇨병, 고혈압 환자에게 RSV제재를 3개월 동안 하루 250mg을 투여한 결과, 총콜레스테롤, 총LDL과 산화LDL 그리고 ApoB의 수준을 현저히 감소시켰다고 한다.
○ 고혈압환자에게 RSV제재를 하루에 150mg 투여하였을 때 팽창혈압의 영향 없이 수축혈압만 감소시켰고 또한 심근경색환자에게도 하루에 RSV제재를 10mg씩 3개월간 투여한 결과 증상이 현저히 호전되었다고 한다.
○ 우리나라는 헬스 미디어에 경상대병원의 함종렬교수가 기고한 레스베라트롤의 항산화 및 다양한 작용기전를 소개한 바 있고(2015.5.7.) 이 물질은 적포도주 외에 땅콩. 포도. 소나무 등 70여종의 식물에 함유한다.
○ 아직 인체에 대한 완성도 높은 연구가 없어 레스베라트롤의 효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 지표를 얻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여 국내 연구진도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연구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저자
- Marta G. Novelle, Devin Wahl, Carlos Dieguez, Michel Bernier, Rafael de Cab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21()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15
- 분석자
- 장*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