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학을 활용한 야생동물 모니터링과 생태계 건강평가
- 전문가 제언
-
○ 혈액은 몸 전체를 순환하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설기관에 보내는 매개체이기 때문에 혈액의 상태는 의학적 상태에 영향을 주고 또 영향을 받고 있다. 혈액학은 혈액과 관련된 생체기관의 형태, 기능, 병리 등을 연구하는 것으로, 혈액과 혈구의 발생을 알아보고 생리학, 생화학, 병리학과 연결하여 정상 및 병적 상태에서의 조혈기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면역학, 혈청학, 혈청응고학, 세포전학 등으로 분화된다.
○ 혈액검사는 혈액에서 의학적 정보를 얻기 위한 것으로 질병의 유무, 무기물 영양상태, 신체장기 기능 등 생리적 및 생화학적 상태를 검사하는 것으로 생화학분석, 분자생물학적 검사, 세포검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혈액의 분석은 혈액 중의 적혈구, 백혈구의 수를 측정하고 동시에 부피, 침강속도, 헤모글로빈의 밀도 등도 결정하는데 혈액세포의 상세한 모양과 구조를 밝히기도 하고 혈액 중의 효소 및 단백질 촉매를 분석하고, 헤모글로빈 및 다른 혈액 단백질의 구조 등을 결정한다.
○ 야생동물은 자연 상태에 서식하거나 자생하는 동물로 국내에서는 환경부가 야생동물 보호와 그 서식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5년마다 야생동물보호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지자체는 기본계획에 따라 관할구역의 야생생물 보호를 위한 세부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혈액학을 활용한 야생동물 모니터링을 통해 생태계의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연구가 국내에 없으며 다만 자연 방사한 희귀종 동물의 서식을 확인하기 위한 생물학적 모니터링은 국지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 국내에서도 야생동물과 그 서식환경을 체계적으로 보호관리함으로써 야생동물의 멸종을 예방하고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시켜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건전한 자연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2015년 3월에 개정된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야생동물 질병관리 기본계획수립 등의 내용을 보강하였으며, 야생동물 질병의 종류도 조류 인플루엔자, 구제역, 광견병, 돼지열병 등 지속적인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한 야생동물 질별 139종을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 저자
- Alberto Maceda-Veiga, Jordi Figuerola, Albert Martinez-Silverstre, Gines Viscor, Nicola Ferrari, Mario Pachec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514()
- 잡지명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22~332
- 분석자
- 황*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