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전력산업의 에너지 보존 및 배출물 감축

전문가 제언

전 세계의 산업화, 도시화 및 급속한 개발은 심각한 자원 및 환경문제를 낳았다. 선진국은 이미 많은 탄산가스를 배출하였으나 후진국 또는 개발도상국의 배출물 제약으로 아직도 손쉽게 얻을 수 있는 화력발전에 의존하는 후진국과 선진국 사이의 갈등도 심화되는 분위기이다.

 

중국에서의 풍력 및 태양광발전을 포함하여 재생발전 방법은 과거 10여년에 급속한 개발을 유지하였다. 재생가능 에너지는 낮은 에너지 소비 및 적은 오염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재생에너지 발전의 급속한 개발은 중국 전력산업의 에너지 보존 및 배출물 감축에 큰 기여를 하였다.

 

중국 전력산업은 배출물 제어에서 아직도 약간의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첫째 총배출물 제어에서 총배출물 제어 요구사항은 항상 정부에 의하여 기업으로 일방적으로 배정되기 때문에 정책 및 규제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둘째 탈황비용을 포함하는 듣기 좋은 면세정책이 전력기업의 주도권을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셋째 연도가스 탈황 프로젝트 및 운영결과의 품질은 불완전한 산업관리 및 시장진입에 빈약한 감독 때문에 높지 않다.

 

중국에서 신재생에너지의 개발 가능한 용량은 소수력(115GW), 풍력(1,000GW), 바이오매스(100GW), 태양광전지(1090,000GW)로서 총 1,091,215GW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의 공감대는 확보되었으나 정책추진 여건은 아직도 취약한 실정이다. 그러나 좁은 국토의 면적으로 햇빛, 바람·물 등은 부족한 현실이다. 3차 기본계획에서 수립한 목표 대비 2012년 실제보급률은 태양광 110%, 풍력 36.4%, 해양에너지 37.1%로 저조한 형편이다. 정책적 지원으로 제2의 도약을 위하여 정부의 강력한 정책추진으로 배출물의 감축이 계획대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Kaile Zhou, Shanlin Yang, Chao Shen, Shuai Ding, Chaoping Su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45()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0~19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